혈액 실험에서 79%가 유전자가위 시술 거부해

병원체, 세균 등이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백혈구, 포식세포 등으로부터 공격을 받게 된다. 백혈구와 포식세포는 모든 조직 내에서 세균과 바이러스, 기타 노폐물을 잡아먹거나 녹여버린다. 우리 몸에 면역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면역기능이 유전자편집 시술 상황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기존 의료체계를 바꾸어놓을 것으로 예상됐던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 '크리스퍼(CRISPR/Cas9)'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9일 '네이처', '데일리 메일'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스탠포드대 연구진은 박테리아에서 추출한 효소 Cas9을 사용해 유전자를 편집한 세포들을 사람의 몸에 적용했을 때 이 세포들을 거부하는 면역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크리스퍼(CRISPR/Cas9)'는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첨단 유전자편집 기술이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더할 수 있고, 다른 염기서열로 교체할 수도 있다. 사람 몸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불과, 5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많은 연구소로 퍼져나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매튜 포투스, 케네스 와인버그 교수가 이끄는 스탠포드대 연구팀은 이 기술로 인한 면역반응에 주목하였고, 22명의 건강한 아기와 12명의 건강한 성인들로부터 혈액을 기증받아 연구를 진행했다. 면역반응 분석 결과 79%가 황색포도상구균(Staphlococcus aureus)에서 추출한 Cas9을 주입했을 때, 65%가 화농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에서 추출한 Cas9을 주입했을 때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그동안 만병통치 수단으로 여겨졌던 유전자가위 시술에 그림자를 던져주고 있다.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결실(deletion), 복제 등의 변화를 가할 경우 오히려 많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라 안정한 유전자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포투스 교수는 "최종 과제는 사람에게 기생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몸에 해롭지 않은 박테리아로부터 Cas9을 추출하는 일"이라며 "많은 과학자들이 이를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복지TV부울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