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마포구 실태조사 결과, 6세 이하 영유아 10인 중 3~4인은 사회·정서적 문제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보건복지부가 연구용역을 통해 실시한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영유아 10인 중 3~4인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2012년 광명시, 2013년 서울 마포구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표본 조사한 결과다.

신 의원은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문제는 성인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을 통한 치료와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며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영유아의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차원의 조사와 지원 정책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2012년 광명시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정서평가 검사(ITSEA)를 통해 12-35개월 영유아 192인 중 39.06%인 75인이 우울, 위축, 또래 관계 문제, 주의력 문제 등 사회성과 정서적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35개월 48.33%, ▲24-29개월 42.3%, ▲12-17개월 31.57%, ▲18-23개월 28.57%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아가 48.86%, 남아 30.76%로 나타나 여아의 정신건강이 심각하다는 것.

마포구 실태조사 결과에서는 35개월 이하 영유아 10명 중 3명은 정신건강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양육환경의 불안에 따른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문제는 성인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진단을 통한 예방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해외 연구 사례를 살펴보면, 인간의 두뇌 발달은 3세 이전까지 가장 빠른 발달을 보이고 사춘기까지 서서히 변화되는데, 유아기에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으면 두뇌에 많은 결함을 남겨 성인이 되어서도 정서조절, 충동성, 수면, 식습관 등의 영역에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

따라서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관리와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정책 뿐만 아니라 실태조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영유아의 정신건강에 대한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국 영유아에 적합한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매우 초보적인 상태라는 지적이다.


실태조사를 진행한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이경숙 교수에 따르면, 영유아 건강검진에서 정신문제를 제대로 판별하지 못해 정상 판정을 받았다가 추후 이상이 발견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이에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고 영유아 전 연령층에 적용할 수 있는 단일 진단도구를 개발해 보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차원의 영유아기 정신건강 지원정책을 마련해 실태조사 및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문가를 양성하는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이에 신 의원은 27일 오후 1시부터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영유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에 따른 지역정신건강지원정책 방향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경숙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교수가 ‘한국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를, 김명식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가 ‘한국 영유아 정신건강 문제 특성’에 대해 발표한다.

지정토론자로는 반건호 경희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김영희 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박성옥 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교수, 정석진 세원영유아아동상담센터장, 윤영숙 서울 중구 육아정보지원센터장, 문정화 마포구 서교어린이집 원장 등 전문가와 복지부 담당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복지TV부울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