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로라의 발생원리
과학시간 도중 과학 책에 그려진 오로라의 사진을 보며 저는 한번쯤은 이 오로라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오로라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고 마음 먹었습니다. 과학시간에는 태양의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가 많이 관측된다는 정도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후 제가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오로라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오로라 라는 이름의 유래는 '새벽' 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한 과학자가 여명의 여신인 아우로라 라는 이름에서 따왔다고 전해집니다. 오로라 라는 이름과 그의 모습이 잘 어우러지지 않나요?
그다음 오로라의 발생원리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의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권과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고에너지의 입자와 대기의 기체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면 그것이 오로라 로 불리게 됩니다.
오로라가 극지방에서만 관측되는 이유는 지구가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북반구는 N극을, 남반구는 S극을 띕니다. 그 과정에서 자기장은 N극에서 S극의 방향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나온 고에너지의 입자들이 지구의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되지 때문이라고 합니다.
여기까지 짧긴하나 제가 아는 오로라의 지식들에 대해 소개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윤혜림 청소년 기자
nsksa200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