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로라의 발생원리

 

 과학시간 도중 과학 책에 그려진 오로라의 사진을 보며 저는 한번쯤은 이 오로라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오로라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고 마음 먹었습니다. 과학시간에는 태양의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가 많이 관측된다는 정도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후 제가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오로라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오로라 라는 이름의 유래는 '새벽' 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한 과학자가 여명의 여신인 아우로라 라는 이름에서 따왔다고 전해집니다. 오로라 라는 이름과 그의 모습이 잘 어우러지지 않나요? 

 그다음 오로라의 발생원리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의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권과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고에너지의 입자와 대기의 기체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면 그것이 오로라 로 불리게 됩니다.

 오로라가 극지방에서만 관측되는 이유는 지구가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북반구는 N극을, 남반구는 S극을 띕니다. 그 과정에서 자기장은 N극에서 S극의 방향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나온 고에너지의 입자들이 지구의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되지 때문이라고 합니다.

여기까지 짧긴하나 제가 아는 오로라의 지식들에 대해 소개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복지TV부울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