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제습기의 공기중의 수분을 빨아들어 방안의 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제습기의 물받이 통을 보면 물이 가득 담겨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제습기는 어떤 원리로 공기중의 수증기를 물로 바꾸어 제거할 수 있는 것일까요? 가장 먼저 제습기는 내부의 팬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인다고 합니다. 팬에 의해 제습기 내부로 빨려들어온 공기는 냉각기를 지나며 온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공기중의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물방울로 액화, 즉 응결 됩니다. 냉각기를 지나며 공기중의 수증기는 물로 바뀌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생긴 물방울이 물 받이 통에 떨어지게 됩니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습기 내부의 히터를 통해 다시 따뜻하게 데워져 밖으로 내버내 진다고 합니다. 간단히 이야기 하면, 제습기 내부에는 팬, 냉각판, 물받이 통, 히터가 있으며 실내공기 흡입, 냉각판 통과 (물로 응결), 수통에 물 저장, 남은 공기는 히터로 따뜻하게 만들어 배출이라는 4단계를 거쳐 작동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제습기의 원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윤혜림 청소년 기자
nsksa200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