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 시민 315명 대상 금융소비 실태조사 발표
부산시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금융소비 관련 피해를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금융의 확산 속에서 고령층의 소외와 보이스피싱·스미싱에 대한 불안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김향란)는 지난 7월 부산 시민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소비 인식 및 실태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금융피해의 심각성에 대해 ‘심각하다’고 응답한 시민은 82.5%(260명)로, 지난해(75.2%)보다 7.3%p 증가했다.
디지털 금융의 영향력에 대해 ‘크다’고 답한 응답자는 88.3%(278명)로, 전년 대비 2.9%p 상승했다.
특히, 디지털 금융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은 50대 70.8%, 60대 이상 76.4%로 나타나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 약자’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피해에 대한 우려는 85.7%(270명)에 달했으며, 60대 이상은 96.6%, 50대는 91.8%로 고령층의 불안감이 특히 높았다.
시민의 94.6%(298명)는 “보이스피싱·스미싱 수법이 다양해지고 지능화되고 있다”고 응답해 금융사기 수법의 고도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걱정도 컸다. 금융상품·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유출이 걱정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91.4%(288명)였으며, 실제로 전화 금융사기인지 혼란을 겪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65.4%(206명)에 달했다.
최근 1년간 스미싱 문자를 받은 시민은 71.7%(226명)로, 주요 유형은 ‘카드사 사칭’과 ‘해외 발신자 사칭’이 각각 20.6%를 차지했다.
그러나 피해 발생 시 신고처나 도움 제공기관을 알고 있는 시민은 37.5%(118명)에 불과해 대응 체계 인지도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금융 소비생활을 위한 정보 형태로는 ‘인터넷 자료’가 30.8%(97명)로 가장 선호되었으며, ‘공익광고 및 캠페인 영상’(20.3%), ‘대면 강의’(20.0%)가 뒤를 이었다.
이는 시민들이 직관적인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정보 접근을 선호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향란 회장은 “디지털 금융 확산 속에서도 시민 불안과 정보격차가 여전하다”며 “특히,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금융사기 예방교육과 정보접근성 강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