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부산시교육감 선거는 시작도 하기 전에 ‘사법 리스크’라는 커다란 변수에 휘말리고 있다.
보수와 진보진영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전호환 전 동명대학교 총장과 김석준 현 교육감이 나란히 법정 앞에 서게 되면서, 선거판 전체가 불확실성 속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보수·중도 진영에서 유력후보로 거론되는 전호환 전 총장은 지난 3월 총장직에서 면직된 뒤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그가 재임시절 최대 성과로 내세웠던 신입생 모집이 ‘유령학생’ 동원으로 부풀려졌다는 의혹 때문이다.
지원하지 않은 이들의 명의를 도용해 입학 처리한 뒤 등록금을 대신 납부하는 방식으로 충원율을 조작했다는 혐의가 제기되면서, 교육자로서의 도덕성에 치명적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
경찰은 오는 12월 수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인데, 만약 기소가 이뤄진다면 전 전 총장은 사실상 선거출마가 어려워진다.
이 경우 보수진영은 대체후보를 찾을 수밖에 없으며, 지난 보궐선거에 나섰던 전영근 전 교육국장이나 최윤홍 전 부교육감 등이 다시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
진보진영을 이끌고 있는 김석준 교육감 역시 사법 리스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는 현재 재판을 받고 있으며, 12월 1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만약 유죄가 선고된다면 현직 교육감으로서의 리더십은 큰 타격을 입게 되고, 항소심 등 남은 재판과정이 2026년 선거 내내 꼬리표처럼 따라붙을 수 있다.
진보진영 내부에서도 대체 카드 필요성이 조심스럽게 언급되고 있지만, 현직 프리미엄을 감안하면 김 교육감의 거취가 선거구도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결국 2026년 부산교육감 선거의 향방은 연말에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전호환 전 총장의 경찰수사결과와 김석준 교육감의 1심 선고가 모두 12월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두 사람이 사법족쇄를 벗고 본격적으로 선거전에 뛰어들지, 아니면 좌초로 인해 새로운 인물이 부상할지, 부산교육계는 그 어느 때보다 긴장된 연말을 맞이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