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안전 위한 글로벌 기업–NGO 협력 모델 본격화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이 청소년 온라인 안전을 위한 NGO 협력 모델을 본격화한다.
지난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틱톡 APAC 온라인 안전 서밋’에는 태국·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14개국 전문가와 NGO 대표가 참석해 AI 딥페이크, 온라인 성착취 등 급증하는 청소년 안전 이슈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패널로 참여한 BTF 푸른나무재단 최홍서 주임연구원은 “신조어 생성 속도가 AI 자동 탐지 기술을 앞지른다”며 현장 전문가와 플랫폼의 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또한 틱톡·경찰과 함께 학교폭력 영상 유포를 신속히 차단했던 사례를 공유하며 다자간 협력의 효과를 입증했다.
틱톡은 청소년 안전 문제는 플랫폼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복합 과제임을 재확인하며 NGO·정부·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다중 이해관계자 협력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푸른나무재단의 현장 기반 분석과 지역 맥락이 틱톡 정책 개선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밋 다음 날인 13일, 발리언트 리치 틱톡 글로벌 파트너십 총괄은 서울 서초동 푸른나무재단 본부를 방문해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그는 “전 세계 많은 NGO를 방문했지만 푸른나무재단은 유독 특별하다”며 “보호·치유·예방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기관은 드물다”고 높이 평가했다.
이어 “틱톡과 푸른나무재단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 대응 모델을 국제적으로 널리 소개하고 싶다”고 밝혔다.
박길성 푸른나무재단 이사장은 “이번 방문은 단순한 후속 미팅이 아니라 파트너십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한 자리였다”며 “청소년이 안전한 환경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플랫폼·시민사회·정부가 함께 책임을 나누는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현재 두 기관은 청소년 안전 민간 핫라인을 운영하며, 피해 청소년이 틱톡 리소스 페이지를 통해 원클릭으로 지원을 요청하면 신고·삭제·상담·법률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내년에도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청소년이 보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창의적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