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시의회, 2026년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추진 발표…
어린이집 보육료 추가 지원으로 교육복지 확대
부산 지역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들이 내년부터 전면 무상교육 혜택을 받게 된다.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과 부산광역시의회(의장 안성민)는 21일,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6년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사립유치원 만 3~5세 유아 학비는 표준유아 교육비 수준인 월 60만 원까지 지원될 예정이다.
이는 현재 월 41만 원인 유아 학비 지원금에서 19만 원을 추가 지원하는 것으로, 2026년부터 무상교육이 완성된다.
부산시교육청은 2022년 유치원 무상급식을 시작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 학년 무상급식을 실시해왔다.
이번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도입으로 부산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무상급식과 무상교육 체계를 갖추게 된다.
유아학비는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교육받는 데 드는 교육비로, 부산시교육청은 4~5세 정부지원금 11만원을 포함하여 월 6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외국 국적 유아에게도 동일한 기준으로 지원하여 형평성을 보장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현재 월 5만 원인 어린이집(4~5세)의 보육료 지원은 내년부터 6만 원으로 1만 원 인상된다.
교육청은 2024년 5세, 올해 4~5세에 이어 내년부터 3~5세까지 단계적으로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매달 유아 1인당 6만 원을 지원하여 어린이집 교육·보육의 질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안성민 시의장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시행과 어린이집 보육료 추가 지원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모든 어린이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부산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김석준 교육감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시행은 부산형 교육복지를 새롭게 도약시키는 정책으로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학부모 부담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부산의 모든 아이가 동등한 기회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