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시민사회가 국토교통부의 가덕도신공항 공기 106개월 발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정부에 신속한 착공과 확장설계를 촉구했다.
24일 오전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과 부울경 시민사회 연대는 “가덕도신공항은 단순한 지방공항이 아니라 대한민국 항공·물류 경쟁력의 핵심이자 국가전략 플랫폼”이라며 “공기를 늘렸다면 공항의 미래도 넓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지후 상임대표는 취지발언을 통해 “엑스포 일정에 매달린 과거의 축소 설계가 결국 공기 연장으로 이어졌다”며 “지금이라도 활주로 2본 기반을 반영해 제대로 된 국가전략공항으로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착공은 신속히, 그러나 설계는 제대로”라는 구호를 내걸며 정부의 대승적 결단을 요구했다.
시민사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세 가지 요구를 제시했다.
첫째, 공기 연장이 불가피하다면 활주로 2본 기반 부지조성을 기본계획에 즉시 반영할 것.
둘째, 지역 건설사 참여를 확대해 공기 단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것.
셋째, 오는 12월 확정될 제7차 공항개발계획에 가덕도신공항을 ‘관문공항’으로 명시할 것.
참석자들은 “지금 기본계획대로라면 가덕도신공항은 평생 1본짜리 지방공항으로 남게 된다”며 “확장성 없는 졸속 공항이 아니라 미래세대까지 책임지는 국가전략공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역 건설사와 중견기업의 참여가 확대돼야 공기 단축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하다”며 구체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부울경 12개 시민단체는 공동성명을 통해 “공기를 늘렸다면 공항의 미래도 넓혀라”, “활주로 2본 기반이 대한민국의 미래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대통령의 결단과 정부·정치권·지자체의 협력을 촉구했다.
이들은 “가덕도신공항은 어느 정권의 공항도, 어느 지역의 공항도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미래를 여는 국가전략공항”이라며 “이번이 관문공항 위상을 확정할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